우리 뇌는 양쪽이 다 다르다? 아이 눈높이로 알아보는 좌뇌·우뇌 이야기
사람의 머릿속에는 마치 두 개의 성격이 다른 친구가 함께 사는 것처럼, 두 개의 반쪽 뇌가 존재한다. 바로 '좌뇌'와 '우뇌'다. 이 두 반쪽은 생긴 모양은 거의 똑같지만, 하는 일은 아주 다르다. 좌뇌는 글씨, 숫자, 순서 같은 '논리적인 일'을 잘하고, 우뇌는 그림, 감정, 상상 같은 '창의적인 일'을 잘하는 편이다.
아이들이 처음 이 이야기를 들으면 보통 이렇게 묻는다.
"그럼 나는 어느 쪽 뇌를 더 많이 써요?"
이 질문은 어른들도 흥미를 느끼는 주제다.
이 글에서는 좌뇌와 우뇌가 각각 어떤 기능을 담당하는지 알아보고, 집에서도 할 수 있는 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자신이 어느 쪽 뇌를 더 많이 사용하는지를 직접 확인해 보는 과정을 소개할 것이다.
이 실험은 복잡한 기계나 도구 없이도, 누구나 가정이나 교실에서 재미있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린이뿐 아니라 부모님, 선생님도 함께 참여하면 흥미와 교육 효과가 두 배가 될 것이다.
좌뇌 vs 우뇌: 무슨 일을 맡고 있을까?
우리의 뇌는 왼쪽 반쪽인 ‘좌뇌(左腦)’와 오른쪽 반쪽인 ‘우뇌(右腦)’로 나뉜다. 이 두 반쪽은 서로 대칭적으로 생겼지만 기능은 꽤 다르다.
실제로 뇌과학자들은 각각의 반구가 맡는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주요 기능 | 언어, 논리, 수학, 분석 | 감정, 직관, 음악, 미술 |
주로 쓰는 손 | 오른손잡이 | 왼손잡이 |
학습 방식 | 순차적, 단계적 학습 | 전체적, 이미지 중심 학습 |
문제 해결 | 논리적 사고, 원인-결과 분석 | 직관적 접근, 창의적 연상 |
선호 활동 | 독서, 계산, 메모 | 그림 그리기, 음악 듣기, 만들기 |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좌뇌와 우뇌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함께 작동한다는 점이다.
즉, 우리가 글을 읽을 때는 좌뇌가 단어를 분석하고, 우뇌는 문장의 전체적인 분위기나 감정을 파악하는 식이다.
아이마다 어느 쪽 뇌를 더 자주 사용하는지는 일상 속 행동, 선호하는 활동, 학습 스타일 등을 통해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선, 간단한 행동 실험이나 테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간단한 좌뇌·우뇌 테스트: 나는 어느 쪽 뇌형일까?
이제 재미있는 실험을 시작해 보자. 아래는 어린이와 어른 모두 함께 할 수 있는 좌뇌·우뇌 테스트다.
준비물은 종이와 펜, 그리고 본인 자신이다.
테스트 1: 손가락 교차 실험
- 두 손을 깍지껴 본다.
- 엄지손가락이 위로 올라간 쪽을 확인한다.
- 왼쪽 엄지가 위에 올라가 있으면 → 우뇌형
- 오른쪽 엄지가 위에 올라가 있으면 → 좌뇌형
→ 손가락을 깍을 때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순서는 뇌의 사용 경향을 보여준다는 연구가 있다.
테스트 2: 팔짱 끼기 실험
- 팔짱을 껴 본다.
- 위로 올라온 팔을 확인한다.
- 왼쪽 팔이 위 → 우뇌형
- 오른쪽 팔이 위 → 좌뇌형
→ 마찬가지로 무의식적인 신체 동작은 뇌의 활동 우세 방향과 관련이 있다.
테스트 3: 회전하는 소녀 영상 실험 (인터넷 활용)
인터넷에서 ‘회전하는 실루엣의 소녀’ GIF 이미지를 검색해서 본다.
-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면 → 우뇌 우세
- 반시계 방향으로 보이면 → 좌뇌 우세
(일부 사람은 양방향으로 바뀌어 보이기도 한다. 집중 방향을 바꾸면 바뀐다.)
🧪 테스트 4: 선호도 체크리스트 (YES/NO로 작성)
나는 그림 그리기를 좋아한다 | |
나는 새로운 규칙보다 자유롭게 놀이하는 게 좋다 | |
나는 이야기책보다 백과사전을 더 좋아한다 | |
나는 수학 문제보다 상상 이야기가 더 재미있다 | |
나는 계획 세우는 걸 좋아한다 | |
나는 음악을 들을 때 그림이나 색이 떠오른다 | |
나는 지도나 그림보다 글자가 더 익숙하다 |
→ YES가 많으면 우뇌형, NO가 많으면 좌뇌형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간단한 실험과 질문만으로도, 뇌의 우세 성향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
이 실험은 단순하지만 아이들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하며, 결과를 가지고 가족끼리 대화를 나누기도 좋다.
아이의 뇌 성향에 맞춘 학습 전략
테스트를 통해 자신의 뇌 성향을 어느 정도 알게 됐다면, 그에 맞는 학습 전략이나 놀이 방식도 조금씩 바꿔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재미 이상의 교육적 의미를 가진다.
좌뇌형 아이의 특징과 추천 활동
- 특징: 규칙적, 계획적, 암기력 뛰어남, 조용한 환경 선호
- 추천 활동:
- 수학 문제 풀기
- 영어 단어 암기 게임
- 스토리 순서 맞추기 퀴즈
-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과제 관리
우뇌형 아이의 특징과 추천 활동
- 특징: 창의적, 감정 표현 풍부, 이미지 기억력 강함, 활동적 환경 선호
- 추천 활동:
- 감정 카드 만들기
- 색칠하기 독서 (장면 그리기)
- 음악 듣고 그림 그리기
- 만화로 자기소개서 만들기
중요한 점은, 한쪽 뇌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약한 쪽 뇌를 훈련하며 균형을 맞춰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뇌형 아이가 계획표 짜기를 어려워한다면, 색으로 꾸민 시각적 계획표를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좌뇌·우뇌 실험은 '나를 이해하는 첫걸음'
좌뇌형인지 우뇌형인지 알아보는 실험은 단순히 호기심을 채우는 수준을 넘어선다.
이런 실험을 통해 아이는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하게 되고,
부모나 교사는 그 아이의 특성에 맞는 방식으로 대화를 하고 가르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실험이 ‘틀렸다, 맞았다’의 결과를 내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성향을 긍정하고 이해하는 하나의 도구라는 점이다.
아이의 뇌가 어느 쪽이든, 자신만의 강점과 스타일이 있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는 경험이 되어야 한다.
“나는 우뇌형이니까 감성적이고 창의력이 좋아”, “나는 좌뇌형이라 논리적으로 문제를 잘 풀어”라고 말할 수 있게 된다면,
이 실험은 단순한 과학 실험을 넘어 아이의 자존감까지 키워주는 중요한 활동이 된다.
'어린이 과학 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깔이 움직이는 그림 만들기 – 표면 장력으로 알아보는 마법 같은 실험 (0) | 2025.07.13 |
---|---|
거꾸로 보는 안경으로 종이컵에 물 붓기 실험(시지각 실험) (0) | 2025.07.13 |
양쪽 귀로 다른 음악을 들으면 집중력이 어떻게 달라질까 실험 (0) | 2025.07.13 |
냄새는 어떻게 인식될까? 향기 구분 실험 (0) | 2025.07.12 |
눈을 감고 물건 맞히기 실험: 감각 중 무엇이 가장 정확할까? (0) | 2025.07.12 |